본문 바로가기
사우디

이슬람의 신앙 고백 의무 샤하다

by 정보파일러 2020. 6. 15.

신앙 고백 의무 샤하다

샤하다는 신앙 고백이라고 불리는 구절입니다. 관련 구절을 해석을 하면 "나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다고 증언합니다. 그리고 무함마드가 알라의 사도임을 선언합니다. "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슬람의 두 가지 기본 원칙을 포함한 이 구절은 이슬람 신앙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무함마드는 알라의 마지막 예언자이며 알아 이외에 신은 없다라는 말은 이슬람 신앙을 분명히 함에 있어서 강한 사상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슬림은 매일 수십번 샤하다를 암송하는 것은 장점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슬람은 삶에서 알라의 존재를 재확인하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삶 자체가 중요한 시험이며, 일상 속에서 바쁜 생활을 하고 있다면, 어느 날 알라를 만나야한다는 이슬람의 원칙을 잊기 쉽다고 합니다. 샤햐다를 암송함으로써 정신을 알라에 집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샤하다는 분명히 부정적인 표현과 긍정적인 표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알라의 확고한 신념이며, 다른 부분은 부정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무슬림들은 알라는 우리의 주인이라고 합니다. 대신 알라 이외의 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과 순종하는 것은 낭비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습니다. 이슬람은 가짜 신을 포괄적으로 정의합니다. 인간이 만든 신들을 생각할 때, 우리의 머리속에 있는 것은 우상과 동상이겠지만, 이에 대해 무함마드는 알라의 관심과 주의를 방해하는 거짓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면, 점성술, 사람이나 동물의 이미지 숭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거짓 신들은 자부심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꾸란에 따르면, 거리를 돌아다니는 사람은 거짓 신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슬람교는 사람이나 동물을 표현한 조각상 및 인물, 동물의 이미지와 사진을 금지합니다. 예외는 추상화, 자연 풍경, 만화, 어린이의 장난 등이 있습니다. 보수적인 무슬림들은 사진을 금지한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 이슬람 학자들 사이에서 찬반 논쟁을 벌이고 있는 중입니다. 이슬람교에서 샤하다 앞부분을 수용하는 것은 알라 외에는 숭배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것입니다. 샤하다는 다른 모든 무슬림의 신앙과 관습의 토대 위에서 5개의 이슬람 의식중에서 최고입니다. 샤하다의 후반에서는 "무함마드가 알라의 사도임을 선언합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는 샤하다에 대한 믿음의 고백은 어떤 사람도 알라에게 순종해야한다는 이슬람 교리의 틀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무함마드가 알라의 마지막 사도라고 말할 때, 그는 자신이 설교한 것을 실천하고 자신의 하는 것을 모방하고 자신의 역할을 모델로 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이슬람은 예수, 모세, 이삭 등을 모두 알라가 보낸 사도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모두 알라에 의해 계시된 삶을 인간에게 알려 주려고 했지만, 그들의 가르침은 후세의 신자에 의해 손실, 손상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위조도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꾸란은 이슬람 이전의 계시에 순종하는 사람들, 특히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정말로 신의 순수한 상태의 말씀을 알고 싶어 한다면, 마지막 예언자 무함마드의 말에 주의 깊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무함마드는 본인은 이슬람 세계에서 신성한 존재도 아니며, 신도 아니라고 했습니다. 무함마드는 알라의 옆에 앉아서 정의를 판단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그는 무슬림이 기도를 하면 들어 주는 구세주가 아니라고 했습니다. 꾸란에서 그는 그 사람들 중 하나이며, 당시 아랍 반도에서 만연했던 우상 숭배와의 싸움에서 맞서 대항한 사람이었습니다. 그것이 무슬림들이 무함마드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이유입니다. 그는 세상에 알라의 말씀을 전하기 위해 수많은 어려움을 이겨냈습니다. 또한 이슬람이 아랍 반도에서 승리 한 후에도 그는 평생 자신의 궁전을 지으라고 명령을 하지 않았습니다. 평생 동안 희생을 하면서 승려와 같은 삶을 살았습니다. 이러한 모습 덕분에 무슬림은 무함마드를 최고의 남편과 아버지, 지도자, 친구, 안내자로 생각합니다. 샤햐다는 거짓 신을 부정하고 알라의 길을 따라야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샤하다를 반복해서 암송하는 이유는 두 가지 원칙을 기억하는데 있습니다.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싶은 사람은 성별에 관계없이 샤하다에 들어있는 가르침을 믿고 있다는 의미에서 적어도 2명의 증인 앞에서 샤하다를 암송해야 합니다. 무슬림은 샤하다를 암송 한 후 개종 이전에 저지른 범죄는 없어 진다고 믿고 있습니다. 끝으로 무슬림들의 삶은 알라의 믿음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사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의 각종 행사  (0) 2020.06.19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  (0) 2020.06.17
무슬림의 기본 의무 살라트  (0) 2020.06.13
이슬람의 종교세(Zakat)  (0) 2020.06.11
이슬람의 예배당 모스크  (0) 2020.06.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