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우디

무슬림의 확산 배경

by 정보파일러 2020. 7. 5.

무슬림의 확산 배경

현재 전세계적으로 무슬림 인구는 18억명 정도 추정되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어떻게 무슬림들이 확산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슬람이 어찌해서 남아메리카의 수리남에서 동유럽에 이르는 지구의 거의 모든 지역에 신자가 있는 것일까?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지리가 아닌 역사에서 찾아봐야 합니다. 이슬람은 서기 610년 예언자 무함마드에 의해 아랍 반도에서 창시 되었습니다. 그 당시부터 대단히 고조되었던 아랍인의 선교 열정을 한 축으로 하고, 페르시아 제국과 비잔틴 제국의 가혹한 지배에 시달리다 무함마드를 해방자로 여긴 농민계급의 적극적인 개종을 다른 한 축으로 해 이슬람 세력은 아랍 반도의 동쪽과 서쪽, 북쪽으로 급속도로 확산되었습니다. 북아프리카, 시리아, 이라크, 이란 지역의 개종자 역시 이슬람의 경계선을 계속 넓혀나가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결국 창시된 후 불과 100년 사이에 이슬람은 스페인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굳게 뿌리를 내렸습니다. 근세에 접어들면서는 터키족 계통인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로 영토를 넓히는 과정에서 또 한 차례 이슬람 세력의 확대가 이루어졌습니다. 수백 년 동안 동방정교회와 가톨릭교회의 박해를 박던 알바니아와 보스니아의 기독교인이 대거 이슬람으로 개종했던 것입니다. 더불어 무슬림은 이민과 무역, 선교 활동, 자발적인 이주가 아닌 서구 강대국에 의한 강제 이주를 통해 남아메리카나 인도네시아 까지 진출해 이슬람을 확산시켰습니다. 이슬람은 영토의 정복은 물론 많은 주민의 자발적인 개종에 힘입어 급속도로 퍼져나갔습니다. 그런데 기독교 역시 선교 활동과 정복 전쟁을 통해 유럽 대륙과 아메리카 대륙 전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전 세계에 걸쳐 막대한 신자를 거느린 이 두 종교를 비교해 보면 이슬람 쪽이 선교를 통해 확산된 측면이 강했습니다. 무엇보다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말레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로 이슬람이 급속도록 전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무수한 개별 신자가 타지방, 타민족에게 이슬람을 선교하고 전파하는 데 깊은 관심을 기울이며 피땀 어린 노력을 기울인 결과였습니다. 상인이나 떠돌이 수피 무슬림이 자발적으로 선교사의 역할을 떠맡은 사례 또한 드물지 않았습니다. 역사를 아무리 훑어봐도 인도네시아와 그 주변 국가에 무슬림 군대가 진출해 강제 개종을 시도한 적이 한번도 없었지만, 그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슬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현대에 들어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등지에서는 이슬람 개종자의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습니다. 각 사회의 특정 집단 내에서는 이슬람이 종교적으로 끊임없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무슬림과 결혼하는 여성이 결혼식을 전후로 해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일 역시 심심찮게 일어 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북미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히스패닉 계열 백인의 수도 꾸준히 늘어가는 추세입니다. 영토 정복과 선교 활동 외에도 이슬람의 확산에 기여한 요인이 바로 세계 곳곳에서 값싼 노동력을 조달하여 식민지에 투입하고자 했던 영국인입니다. 18세기와 19세기 초, 영국인은 수만명의 무슬림을 인도에서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카리브 해 연안의 지역으로 이주시켰습니다. 그리고 그 무슬림들과 후손들은 자신의 종교를 지켜나갔습니다. 수리남은 인구의 30퍼센트가 무슬림이고, 나머지는 힌두교와 기독교인입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레바논 이민자들에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무슬림 증가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사회문제가 대두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들의 문화를 고수하는 것은 분쟁의 씨앗이 될수 있으므로 공존과 상생을 위해서 변화의 노력이 필요할겁니다.

댓글